Make 워크플로우 자동화
  • Make 플랫폼의 기본 개념 이해
  • 자동화 워크플로우 설계 및 구현
  • 실무에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 작성
1. Make 플랫폼 개요
1.1 정의
Make.com은 노코드 기반 워크플로우 자동화 플랫폼입니다.
1.2 주요 특징
  • 1,000개 이상 앱 연동 지원
  • 드래그 앤 드롭 인터페이스
  •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
  • JSON 기반 시나리오 저장
1.3 Make 요금제
2. 핵심 용어
3. Make 인터페이스
3.1 전체 화면 구성
3.1.1 기본 레이아웃
  • 좌측 사이드바: 주요 메뉴 및 기능
  • 상단 헤더: 조직 정보 및 설정
  • 메인 영역: 작업 공간 및 시나리오 관리
3.2 좌측 사이드바 메뉴
3.2.1 조직 관리 영역
3.2.2 작업 영역
3.2.3 지원 기능
4. 실습: 시나리오 작성 과정
4.1 사전 준비
  1. Make 계정 생성 (make.com)
  1. 대시보드 접속 확인
4.2 시나리오 생성 단계
Step 1: 프로젝트 시작
  • 대시보드 → "새 시나리오 만들기"
  • "+" 버튼 클릭
Step 2: 트리거 설정
  • 앱 선택 (예: Google Sheets)
  • 이벤트 선택 (예: "행 추가 감시")
  • 권한 부여 완료
Step 3: 트리거 조건 설정
  • 대상 스프레드시트 선택
  • 감시할 워크시트 지정
Step 4: 액션 추가
  • "모듈 추가" 클릭
  • 액션 앱 선택 (예: Gmail)
  • 작업 유형 선택 (예: "이메일 보내기")
Step 5: 액션 설정
  • 수신자, 제목, 내용 입력
  • 데이터 매핑 설정
Step 6: 테스트 및 활성화
  • "한 번 실행" 클릭
  • 오류 확인 및 수정
  • 시나리오 저장 후 활성화
5. 활용 사례
5.1 업무 자동화
  • 고객 관리: CRM 신규 등록 → 환영 이메일 자동 발송
  • 프로젝트 관리: 작업 완료 → 팀 채팅방 알림
  • 데이터 관리: 스프레드시트 업데이트 → 대시보드 갱신
5.2 마케팅 자동화
  • 콘텐츠 배포: 블로그 발행 → SNS 자동 게시
  • 리드 관리: 폼 제출 → CRM 등록 + 후속 이메일
6. 요금제 비교
*연간 결제 기준
7. 참고 자료
  • Make 공식 문서: docs.make.com
  • 템플릿 갤러리: make.com/en/templates
  • 커뮤니티 포럼: community.make.com
Zapier vs Make
노코드 툴 ZapierMake를 비교해봤습니다. 각각의 특징과 적합한 상황을 살펴보세요.
두 도구 간단 소개
🔹 Zapier란?
Zapier는 7,000개 이상의 앱을 연결해 반복 작업을 자동화해주는 서비스입니다. 사용법이 쉬워 초보자에게 적합합니다.
🔹 Make란?
Make(구 Integromat)는 시각적인 방식으로 자동화 흐름을 만들 수 있는 도구입니다. 1,000여 개의 앱과 연동되며, 복잡한 자동화 작업에 강합니다.
워크플로우 방식 차이
  • Zapier: 트리거 → 액션 구조로 단순하고 직관적. ✔️ 배우기 쉬움 복잡한 흐름 구현은 다소 제한적
  • Make: 마인드맵처럼 시각적으로 구성. ✔️ 복잡한 작업도 유연하게 설계 처음엔 약간 헷갈릴 수 있음
앱 연동 범위
  • Zapier: 7,000개 이상의 앱 지원. 거의 모든 서비스 커버
  • Make: 약 1,000개 앱이지만, 더 깊은 기능 연동 가능
가격 비교
💡 Make가 더 저렴한 가격에 많은 작업량을 제공합니다.
어떤 도구가 나에게 맞을까?
  • 자동화 초보라면? 👉 Zapier – 쉽고 빠르게 시작 가능
  • 복잡한 자동화가 필요하다면? 👉 Make – 시각적 설계, 유연한 조건 설정 가능
  • 연동하고 싶은 앱이 중요하다면? 👉 둘 다 확인해보고 선택 (Zapier가 수는 많음)
  • 비용이 걱정된다면? 👉 Make – 저렴하고 무료 플랜도 기능 많음
마무리
Zapier와 Make는 각각의 강점을 가진 훌륭한 자동화 도구입니다. 시작은 Zapier, 고급 자동화는 Make라는 전략도 좋습니다. 둘 다 무료 플랜이 있으니 직접 써보면서 비교해보세요!
시간을 아끼고 업무 효율을 높이고 싶다면, 자동화는 꼭 한 번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.
필요하면 블로그용 버전이나 인스타 카드뉴스 형식으로도 바꿔드릴 수 있어요!
Make - Google 서비스 연결
학습 목표
  • 개인 Gmail 계정을 Make에 연결하는 방법 이해
  • Google Cloud Console을 활용한 API 권한 설정
  • 안전한 OAuth 인증 과정 완료
1. 연결 문제 및 해결 방안
1.1 문제 상황
개인 Gmail 계정 연결 제한
  • Google Workspace 유료 계정: 바로 연결 가능
  • 개인 Gmail 계정(@gmail.com): 직접 연결 불가
  • 특별한 권한 설정 필요
1.2 해결책
Google Cloud Console을 통한 수동 권한 설정
2. Google Cloud Console 설정
2.1 프로젝트 생성
  1. Google Cloud Console 검색 후 접속
  1. "새 프로젝트" 클릭
  1. 프로젝트 이름 입력 (예: "Make Connection")
  1. "만들기" 클릭
2.2 API 서비스 활성화
설정 경로: API 및 서비스 → API 서비스 사용 설정
필수 API 2개 활성화
Gmail API
Google Drive API
3. OAuth 동의 화면 설정
3.1 기본 정보 입력
  1. 사용자 유형: 외부 선택
  1. 앱 이름: Make 커넥션 (또는 원하는 이름)
  1. 사용자 지원 이메일: 본인 이메일 주소
3.2 승인된 도메인 추가
필수 도메인 2개
make.com integromat.com
3.3 개발자 연락처 정보
본인 이메일 주소 입력
4. 권한 범위 설정
4.1 권한 설정 방법
옵션 1: 전체 권한 (간편)
  • 모든 행 선택 후 업데이트
옵션 2: 최소 권한 (권장)
  • Gmail: 필수 권한만 개별 선택
  • Google Drive: 필수 권한 2개만 선택
4.2 보안 고려사항
  • 외부 노출 없는 개인 사용: 전체 권한 가능
  • 개발/배포 목적: 최소 권한 권장
5. 테스트 사용자 설정
5.1 사용자 추가
  1. "테스트 사용자" 섹션 이동
  1. 본인 이메일 주소 추가
  1. "저장 후 계속" 클릭
5.2 목적
  •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
  • 외부 오픈 없이 특정 사용자만 접근
6. OAuth 클라이언트 ID 생성
6.1 인증 정보 생성
  1. "사용자 인증 정보" → "인증 정보 만들기"
  1. "OAuth 클라이언트 ID" 선택
  1. 애플리케이션 유형: 웹 애플리케이션
6.2 리디렉션 URI 설정
필수 URI 추가
https://www.integromat.com/oauth/cb/google-restricted
6.3 결과 확인
  • 클라이언트 ID 생성 확인
  • 클라이언트 보안 비밀 생성 확인
7. Make에서 연결 설정
7.1 고급 연결 설정
  1. Make에서 Gmail 모듈 추가
  1. "Create a connection" 클릭
  1. "Advanced" 선택
7.2 인증 정보 입력
7.3 인증 과정
  1. "Sign in" 클릭
  1. Google 로그인 화면 표시
  1. 주의: "확인하지 않은 앱" 경고 시 "계속" 클릭
  1. 권한 허용 확인
  1. 연결 완료
8. 중요 사항 및 유지 관리
8.1 재인증 주기
6개월마다 재인증 필요
  • Google 정책에 따른 제한
  • 만료 전 알림 확인
  • 재연결 과정 반복
8.2 연결 상태 확인
  • Make 대시보드에서 연결 상태 모니터링
  • 오류 발생 시 재인증 수행
Make 시나리오: Google Sheets → Gmail 실습 가이드
시나리오 개요
Google Sheets에 새로운 행이 추가될 때마다 자동으로 Gmail을 통해 알림 이메일을 발송하는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구현합니다.
1. 시나리오 생성 및 구성
1.1 시나리오 캔버스 설정
  • Make 대시보드에서 "새 시나리오 만들기" 클릭
  • 빈 캔버스에서 두 개의 주요 모듈 배치:
  • Google Sheets (트리거 모듈)
  • Gmail (액션 모듈)
  • 두 모듈을 연결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흐름 설정
1.2 모듈 연결 구조
Google Sheets → Gmail (트리거) (액션)
2. Google Sheets 트리거 설정
2.1 모듈 선택 및 액션 설정
  • Google Sheets 모듈 클릭
  • 액션 유형: "Watch Rows" (행 감시) 선택
  • 이 설정으로 스프레드시트에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는 것을 실시간 감지
2.2 연결 설정
  • 이전에 Google Cloud Console에서 설정한 고급 연결 사용
  • OAuth 인증을 통한 안전한 Google 계정 연동
  • 연결 상태 확인 후 진행
2.3 스프레드시트 설정
  • 스프레드시트 선택: 감시할 Google Sheets 파일 지정
  • 워크시트 선택: 특정 시트 탭 선택 (예: Sheet1)
  • 감시 범위: 새로 추가되는 행만 감지하도록 설정
  • 열 헤더: 첫 번째 행을 헤더로 사용 여부 설정
3. 연결 및 권한 설정
3.1 Google 인증 과정
  1. "확인하지 않은 앱" 경고 화면
  • Google에서 표시하는 보안 경고
  • "고급" → "안전하지 않은 페이지로 이동" 클릭
  • 개인 프로젝트이므로 안전하게 진행 가능
  1. Integromat.com 서비스 승인
  • Make의 이전 브랜드명인 Integromat 도메인 사용
  • Google Sheets 및 Gmail 접근 권한 요청
  • "허용" 클릭하여 권한 부여 완료
3.2 권한 범위
  • Google Sheets: 스프레드시트 읽기 권한
  • Gmail: 이메일 전송 권한
  • 최소 필요 권한만 부여하여 보안 강화
4. Gmail 액션 설정
4.1 Gmail 모듈 구성
  • Gmail 모듈 클릭
  • 액션 유형: "Send an Email" (이메일 전송) 선택
  • Google 연결 사용
4.2 이메일 내용 설정
  • 수신자: 알림을 받을 이메일 주소 입력
  • 제목: 동적 제목 설정 (예: "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었습니다")
  • 본문: Google Sheets에서 전달받은 데이터 활용
  • 매핑 기능을 통해 스프레드시트의 특정 열 값을 이메일 내용에 포함
  • 예: "이름: {{A열}}, 이메일: {{B열}}, 메모: {{C열}}"
4.3 데이터 매핑
  • Google Sheets에서 감지된 새 행의 데이터를 Gmail 필드에 연결
  • 드래그 앤 드롭으로 간편한 매핑 설정
  • 실시간 데이터 미리보기 기능 활용
5. 테스트 및 검증
5.1 시나리오 테스트
  1. "Run once" (한 번 실행) 버튼 클릭
  1. Google Sheets에 테스트 데이터 추가
  1. Make에서 실행 결과 확인
  1. Gmail에서 알림 이메일 수신 확인
5.2 오류 처리
  • 실행 로그에서 각 단계별 성공/실패 상태 확인
  • 오류 발생 시 상세 메시지 확인하여 문제점 파악
  • 데이터 매핑이나 권한 설정 재검토
6. 시나리오 활성화 및 운영
6.1 스케줄링 설정
  • 실행 간격: 1분, 5분, 15분 등 선택 가능
  • 무료 플랜: 최소 15분 간격
  • 유료 플랜: 1분 간격까지 설정 가능
6.2 시나리오 활성화
  • 모든 테스트 완료 후 "ON" 스위치 클릭
  • 실시간 감시 시작
  • 이후 Google Sheets에 새 데이터 추가 시 자동으로 이메일 발송
Make 시나리오: Google Forms → Router → Sheets + Gmail
시나리오 개요
Google Forms 응답을 Router로 분기하여 관리용 시트에 저장하고 동시에 Gmail 알림을 발송하는 자동화
1. 시나리오 구성
Google Forms → Router → Google Sheets (관리용 시트 저장) (응답 감지) ↓ → Gmail (알림 발송)
2. 모듈 설정
2.1 Google Forms (트리거)
2.2 Router
  • 설정 없음 (자동 분기)
2.3 Google Sheets (관리용)
매핑:
  • A: {{formatDate(1.타임스탬프; "YYYY-MM-DD HH:mm")}}
  • B: {{1.이메일}}
  • C: {{1.직업명}}
  • D: {{1.담당자}}
  • E: {{1.긴급도}}
  • F: {{1.희망완료일}}
  • G: {{1.작업상세내용}}
  • H: 접수 (기본값)
2.4 Gmail
이메일 템플릿:
<h3>새 작업 요청</h3> <ul> <li>담당자: {{1.담당자}}</li> <li>긴급도: {{1.긴급도}}</li> <li>희망완료일: {{1.희망완료일}}</li> <li>내용: {{1.작업상세내용}}</li> </ul>
3. 활성화
  • 스케줄링: Immediately
  • 시나리오 ON
📋 AI Assistant 프롬프트
당신은 Make.com 전문가입니다. "Google Forms → Router → Sheets + Gmail" 시나리오 생성해 주세요. **구성:** Forms(Form_Responses1 감지) → Router → Sheets(관리용) + Gmail(알림) **핵심:** Since ID=0, 7개 필드 매핑, 즉시 실행, Router 자동분기 **매핑:** 타임스탬프, 이메일, 직업명, 담당자, 긴급도, 희망완료일, 작업상세내용 Router로 Forms 응답을 관리시트 저장과 알림발송을 동시처리하는 구조입니다.
Make 시나리오: LINE 고객 문의 자동 응답 챗봇
시나리오 개요
LINE으로 수신된 고객 문의를 AI가 자동으로 분석하여 적절한 답변을 생성하고 즉시 응답하는 챗봇 시스템
1. 시나리오 구성
LINE → ChatGPT/Claude → LINE (메시지 수신) (AI 응답 생성) (자동 응답)
2. 사전 준비
2.1 LINE Developers 설정
  1. https://developers.line.biz/ 접속 (가입필요)
  1. Provider 생성 → Channel 생성 (Messaging API)
  1. Channel Access Token 발급
  1. Webhook URL 설정 (Make에서 제공)
  1. 응답 모드: Bot 모드 활성화
2. 모듈 설정
2.1 LINE (트리거)
연결 설정:
  • Channel Access Token: 발급받은 토큰
  • User ID: Bot User ID
2.2 ChatGPT (AI 처리)
AI 프롬프트 설정:
당신은 친절한 고객상담 챗봇입니다. 고객 문의: {{1.events[].message.text}} 다음 규칙을 따라 답변해주세요: 1. 존댓말 사용 2. 친근하고 도움이 되는 톤 3. 답변을 모르면 "담당자 연결" 안내 4. 200자 이내로 간결하게 5. 이모지 적절히 활용 답변:
3. LINE (응답)
📋 AI Assistant 프롬프트
당신은 Make.com 전문가입니다. "LINE 고객 문의 자동 응답 챗봇" 시나리오를 생성해 주세요: **구성:** LINE(Watch Events) → ChatGPT → LINE(Send Reply) **핵심:** Messaging API 활용, AI 프롬프트 최적화, 실시간 응답 **기능:** 고객 문의 자동 분석, 맞춤 응답 생성, 조건별 템플릿 LINE Bot과 AI를 연동한 24시간 무인 고객상담 시스템입니다.
Make 시나리오: Google Sheets + AI 리뷰 분석 + 요약 저장
시나리오 개요
Google Sheets에 저장된 고객 리뷰 데이터를 AI(ChatGPT)로 분석하여 요약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, 다시 Google Sheets에 저장하는 워크플로우
1. 시나리오 구성
Google Sheets → Iterator → Array aggregator → OpenAI → Google Sheets (리뷰 데이터 읽기) → (개별 처리) → (데이터 집계) → (AI 분석) → (요약 저장)
2. 모듈 설정
2.1 Google Sheets (트리거) - Get Range Values
설정값:
  • Action: Get Range Values
  • Connection: My Google connection
  • Search Method: Search by path
  • Drive: My Drive
  • Spreadsheet ID: /고객 리뷰 시트
  • Sheet Name: reviews_raw
  • Range: A2:E
  • Table contains headers: No
기능: 원본 리뷰 데이터를 읽어옴
2.2 Iterator
설정값:
  • Array: {{7.values}} (Google Sheets에서 가져온 데이터)
기능: 배열 데이터를 개별 항목으로 분리하여 순차 처리
2.3 Array aggregator
기능: Iterator로 처리된 데이터를 다시 하나의 배열로 집계
2.4 OpenAI (ChatGPT)
설정값:
  • Connection: My OpenAI connection
  • Select Method: Create a Chat Completion (GPT and o1...)
  • Model: gpt-4o-mini (system)
  • Messages:
  • Role: User
  • Text Content:
다음은 고객 제품 리뷰 데이터입니다: {{3. Array[1]}} 다음 정보를 요약해줘: - 전체 리뷰 수 - 평균 평점 - 긍정 리뷰 수 (평점 ≥ 4) - 부정 리뷰 수 (평점 ≤ 2) - 중립 리뷰 수 (평점 = 3) - 리뷰 내용 중 자주 등장한 키워드 5개
기능: 수집된 리뷰 데이터를 AI가 분석하여 요약 생성
2.5 Google Sheets (액션) - Update a Row
설정값:
  • Connection: My Google connection
  • Search Method: Search by path
  • Drive: My Drive
  • Spreadsheet ID: /고객 리뷰 시트
  • Sheet Name: reviews_summary
  • Row number: 2
  • Table contains headers: Yes
  • Values:
  • A: {{4.choices[].message.content}} (AI 분석 결과)
  • B: (기타 필요한 데이터)
  • C-F: (추가 분석 데이터)
기능: AI 분석 결과를 요약 시트에 저장
3. 실행 과정
3.1 데이터 준비
  1. reviews_raw 시트에 고객 리뷰 데이터 준비
  • A열: 고객명
  • B열: 제품명
  • C열: 평점 (1-5)
  • D열: 리뷰 내용
  • E열: 작성일
  1. reviews_summary 시트 생성
  • A열: AI 분석 요약
  • B-F열: 추가 분석 데이터 저장용
3.2 시나리오 실행
  1. Google Sheets에서 리뷰 데이터 읽기
  1. Iterator로 각 리뷰를 개별 처리
  1. Array aggregator로 데이터 재집계
  1. OpenAI로 종합 분석 수행
  1. 분석 결과를 요약 시트에 저장
4. 활용 예시
4.1 입력 데이터 예시
김철수 | 스마트폰 | 5 | 배터리 지속시간이 뛰어남 | 2024-01-15 이영희 | 스마트폰 | 3 | 화질은 좋지만 무게가 무거움 | 2024-01-16 박민수 | 스마트폰 | 4 |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움 | 2024-01-17
4.2 AI 분석 결과 예시
=== 고객 리뷰 분석 요약 === • 전체 리뷰 수: 3개 • 평균 평점: 4.0/5.0 • 긍정 리뷰 수: 2개 (평점 4-5) • 중립 리뷰 수: 1개 (평점 3) • 부정 리뷰 수: 0개 (평점 1-2) === 주요 키워드 === 1. 배터리 2. 화질 3. 무게 4. 만족 5. 지속시간 === 주요 피드백 === - 배터리 성능에 대한 긍정적 평가 - 화질 품질 만족 - 제품 무게에 대한 개선 필요
5. 응용 방안
5.1 확장 기능
  • 감정 분석: 리뷰의 감정 점수 분석
  • 카테고리 분류: 리뷰를 주제별로 자동 분류
  • 트렌드 분석: 시간대별 리뷰 변화 추이
  • 경쟁사 비교: 여러 제품 리뷰 비교 분석
5.2 자동화 설정
  • 스케줄링: 매주/매월 정기 분석 실행
  • 알림 설정: 부정 리뷰 급증 시 알림 발송
  • 리포트 생성: 분석 결과를 자동으로 PDF 리포트 생성
6. 주의사항
6.1 데이터 처리
  • 대량 데이터 처리 시 API 호출 제한 고려
  • 개인정보 포함 리뷰의 경우 데이터 마스킹 필요
  • AI 분석 결과의 정확성 검증 필요
6.2 비용 관리
  • OpenAI API 사용량에 따른 비용 발생
  • 토큰 사용량 최적화를 위한 프롬프트 개선
  • 불필요한 반복 실행 방지
7. 활성화
  1. 스케줄링: 필요에 따라 설정 (즉시 실행/정기 실행)
  1. 시나리오 ON
이 시나리오는 고객 리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여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.